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투싼, 스포티지 리콜 제대로 알고 받기

by 퇴계동멋쟁이 2017. 7. 21.
728x90
반응형

지난 19일 현대자동차의 투싼과 기아자동차의 스포티지가 배출가스 부품결함으로 인해 리콜을 실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자신의 차가 리콜 대상인지 궁금해 하고 있으며 어떠한 서비스를 받아야 할지 궁금하실텐데요.

리콜을 해주는 입장에서는 무조건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서비스만을 해줄 것이기 때문에 제가 알아본 정보를 통해 서비스 내용을 숙지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해당 차량을 확인하는 방법과 서비스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콜대상 확인하기

기사가 뜨자마자 저는 가끔 들러보는 '자동차리콜센터'에 방문하여 조회를 해보았지만 대상 차량으로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리콜 대상 차량은 2014년 5월~2015년 3월 제작된 투싼 2.0 디젤 7만9618대와 2012년 7월~2015년 8월 제작된 스포티지 2.0 디젤 13만8748대에 제 차량이 속하기는 하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기아자동차에 조회를 해보니 대상차량이 맞다고 하네요. 리콜센터에서 조회가 되지 않는 분들은 기아자동차(080-200-2000), 현대자동차(080-600-6000)으로 전화하여 확인하시면 된답니다.


리콜 결함내용

지난 2012년 7월에 DPF(매연포집필터)의 재질을 변경했지만(아마도 저품질로 변경했겠지요) 차량의 컴퓨터인 ECU(전자제어장치)는 변경된 필터에 적절하게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로인해 DPF가 데미지를 입고 성능이 저하되어 디젤엔진에서 내뿜는 매연이 과도하게 배출된다는 내용입니다.


리콜 제대로 받기

이에 현기차에서는 정비를 하여 DPF가 멀쩡하다면 ECU업데이트만을 해주고 DPF가 손상을 입었다면 DPF교체 및 EGR(배출가스재순환장치) 입구필터 까지 교체를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22만대의 모든 장비를 돈을 들여가며 교체해줄 리가 없는 현기차이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정비를 해보니 DPF는 멀쩡하다고 하면 믿을 수 밖에 없는 입장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미지 짐작을 했는지 환경부에서는 리콜 후 입고검사 단계에서 정상으로 판명돼 DPF를 교체하지 않은 차량이라도 배출가스 보증기간(10년, 16만㎞ 이내) 내 자동차 정기검사 시 매연 농도가 2% 이상으로 나타날 경우 DPF의 손상으로 간주하고 무상으로 교체하였습니다. 


자동자 정기검사 내역 조회하기

위와 같은 이유로 자동차 정기검사 시 받았던 점검내역서를 갖고 있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사이트로 이동하여 회원가입 후 지난 점검내역을 조회하여 리콜 서비스를 받을 때 챙겨 가시면 되겠습니다.

교통안전공단


아직 ECU업그레이드에 대해 의견이 나뉘는데 출력 및 연비저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나 봅니다. 현기차의 잘못으로 소비자가 불편을 겪는 사항에 대해 물직적인 보상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이상으로 투싼 스포티지 리콜대상 차량조회 및 서비스 내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용한 정보] - 자동차 블랙박스와 배터리 관리를 위한 상식

[유용한 정보] - 자동차 왁스 추천, 가성비 갑 캉가루물왁스

[유용한 정보] - 자동차 배터리 교환 및 배터리방전 요령

[유용한 정보] - 자동차 관리 상식 알아두기

[일상 & 취미] - 스포티지R 자동차 와이퍼 교체는 HG 순정으로~!

728x90
반응형

댓글